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Protocol : IP

네트워크(Network)

by 주스로그 2024. 9. 26. 15:18

본문

728x90
반응형

OSI 7 layer의 3계층 network의 프로토콜, IP헤더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개괄적인 설명은 이전 글 참고

2024.02.16 - [네트워크(Network)] - OSI 7-Layer

 

OSI 7-Layer

네트워크는 장비를 특정 매체를 통해 연결하여쉽고 간편하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네트워크는 보다 안정적인 통신과 네트워크 간의 호환을 위해 국제 표준으로 계층적인 모

zuchnology.tistory.com

 

 

Network 계층은 실질적인 목적지까지 도달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는 계층이기 때문에

라우팅을 주 목적으로 하여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여 도착을 보장한다.

L3의 프로토콜은 IP가 있는데, 이번에는 IP의 헤더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3layer IP header의 구성

구성은 위와 같은데,

IP header는 구간 별로 필드(field)라고 명칭한다.  

중요한 것 위주로 간단하게 설명하려고 한다.

 

1) version(4bit)

항상 4(0100)로 고정한다

 

2) header length(4bit) 

4bit로 4byte 단위를 표시한다
4byte X 5(0101) =20 최소 20byte
4byte X 15(1111) = 60 최대 60byte

 

3) type of service(8bit)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냄

4) total length(16bit)

해당 packet(L3의 PDU는 packet)의 전체 크기

 

5) Identification(16bit)

해당 packet의 고유번호

 

6) flag(3bit)

fragmentation으로, 해당 패킷이 fragment(분할)되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게하는 Tag의 개념
xDM

010 : fragment하지 않은

001 : fragment한 후 이후 조각이 있는 경우

000 : fragment한 후 마지막 조각인 경우

 

7) fragment offset(13bit)

여러 개로 분할 되어있는 패킷을 다시 조립할 때의 위치순서

 

ex) 같은 identification을 가진 패킷이 세 개로 나뉘었을 때 flag가  001, 001, 000 으로 나올때,

001의 flag를 가진 두 개의 패킷의 순서를 정리할 수 있도록 함

 

8) time to live(8bit)

packet looping 방지

packet looping 이란?
프로토콜은 논리적으로 네트워크를 돌기 때문에 패킷이 목적지를 못찾고 계속 도는 상황 


라우터를 통과하는 횟수를 (time)이라고 한다 :: ping 의 TTL과는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9) protocol(8bit)

L2의 type과 동일한 역할로,

de-capsulation 시 다음 계층(L4) 헤더를 구성하는 protocol 을 지정  

icmp 0x01 : 00000001
tcp 0x06 : 00000110
udp 0x11(17) : 00011111

 

10) header checksum(16bit)

header 의 오류나 변조 여부 확인
L3는 헤더에 포함된 src, dst가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변조가 되었는지 무결성 검증이 필요!

 

11) source ip address(32bit)

출발지 IP 주소

12) destination ip address(32bit)

목적지 IP 주소

 

13) option(4bytes)

기타 등등의 정보가 들었있음

 

14) data(~60bytes)

de-capsulation을 통해 L4로 가져갈 데이터(최대 60바이트)

 

이렇게 3계층 프로토콜 IP의 헤더 부분을 알아보았다

모두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728x90
반응형

'네트워크(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tocol : ICMP  (0) 2024.10.11
Protocol : ARP  (0) 2024.09.27
Protocol : Ethernet  (0) 2024.09.26
subnet mask/wild mask 구분하기  (0) 2024.09.24
TCP/IP 4 Layer  (0) 2024.02.2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