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 layer의 ARP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개괄적인 설명은 이전 글 참고
2024.02.16 - [네트워크(Network)] - OSI 7-Layer
OSI 7-Layer
네트워크는 장비를 특정 매체를 통해 연결하여쉽고 간편하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네트워크는 보다 안정적인 통신과 네트워크 간의 호환을 위해 국제 표준으로 계층적인 모
zuchnology.tistory.com
Network 계층은 실질적인 목적지까지 도달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는 계층이기 때문에
라우팅을 주 목적으로 하여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여 도착을 보장한다.
모든 통신은 MAC address를 마지막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MAC Address를 알고 보내는게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볼 수 있다.
이때, MAC address를 모르는 상대 시스템에게 통신해야한다면 ?
이번에는 ARP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구성은 위와 같은데,
ARP는 Address Resolution Protocol로,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다.
중요한 필드(field)위주로 간단하게 설명하려고 한다.
ARP가 동작할 Network 환경 정보를 담음 : Ethernet 환경에서는 MAC 주소(1번 코드)
일반적으로 IPv4주소(0x0800)가 들어간다
지정된 물리적 주소의 크기 값 : MAC 주소의 크기(6byte)
지정된 논리적 주소의 크기 값 : IP 주소의 크기(4byte)
ARP packet의 종류 , ARP packet이 수행하는 동작이 지정
보내는 시스템의 물리적 주소(MAC 주소)
보내는 시스템의 논리적 주소 (=IP address)
받는 시스템의 물리적 주소 , 모르는 경우 00:00:00:00:00:00 값이 들어감
> 일반적으로 ARP Request Packet은 물리적 주소를 몰라서 요청하기위해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00:00:00:00:00:00 값이 들어간다
받는 시스템의 논리적 주소(IP address)
이렇게 프로토콜 ARP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ARP 프로토콜이 결국 몇 계층인지 헷갈리고 구분하기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은데
모호하고 애매한 것이 사실이다.
ARP는 MAC주소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00.00.00.00.00.00으로 비워보내며 L3라고 할 수 없지만,
IP주소를 통해 통신 요청을 한 이후에 MAC주소를 받아온다.
결국 MAC주소를 알지 못한다는건 L2위로 올라갈 수 없다는 의미이니까,
필자는 굳이 나눠야한다면 L2에 더 가깝다고 생각한다.
모두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Protocol : TCP (1) | 2024.10.14 |
---|---|
Protocol : ICMP (0) | 2024.10.11 |
Protocol : IP (2) | 2024.09.26 |
Protocol : Ethernet (0) | 2024.09.26 |
subnet mask/wild mask 구분하기 (0) | 2024.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