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RHCSA 준비하기 : NFS 서버 구성

자격증/RHCSA

by 주스로그 2024. 10. 4. 13:49

본문

728x90
반응형

※주의!

다른 카테고리와 다르게 정말 혼자 실습 연습해보면서 기록하기 때문에

굉장히 편한 어투와 말투 !

지식을 공유한다는 느낌보다는 일기장 같은 느낌일 것!

지식을 원하신다면,, 다른 포스팅으로..


NFS server(Rh-01)

NFS client(Rh-test)로 구성할 예정!

 

1) NFS server setting

먼저 nfs-utils 패키지를 설치해준다(아맞다 영어로 설정 안했네)

서비스 실행과 자동 설정을 위해 systemctl enable해준다

두 서비스의 정상 작동을 확인해준다

그 후 공유 디렉터리 하나를 만들어준다

nfs 서버의 공유 설정 파일에 들어가

공유 경로, 공유 네트워크 대역, 권한 순으로 작성한다

적용(-ra), 확인(-v) 후 client 설정하기

 

2) NFS client setting

동일하게 nfs-utils를 설치해주고

위와 RPC 서비스를 자동시작하도록 설정해준다(캡처는 귀찮아서 스루)

NFS확인해보면 ? 아차차 방화벽이 있다.(또다시 30분 넘게 끙끙대다 찾음)

양쪽 방화벽에 nfs + 포트번호 2049 + 포트번호 111(rpc) 추가해줬다

근데도 못찾는게 너무너무 속상한거ㅠㅠㅠ

나중에 알았다. 예비 포트인 20048포트도 추가해주는게 좋다는것을...........

이것때문에 줄곧 막혔었따... 진짜 어이밤탱;

selinux 올라와있어도 firewalld 올라와있어도 이제 무사히 성공!

3) 연결(마운트)

이제 클라이언트에 마운트해줘야하니

마운트 할 디렉터리를 만들어주고 마운트 해줍니다!

요로코롬 귀찮으니 IP주소로 넣어주었습니다,.

 

이러면 reboot해도 자동마운트까지 성공!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