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카테고리와 다르게 정말 혼자 실습 연습해보면서 기록하기 때문에
굉장히 편한 어투와 말투 !
지식을 공유한다는 느낌보다는 일기장 같은 느낌일 것!
지식을 원하신다면,, 다른 포스팅으로..
가지고 있는 요구조건은
- /home/manager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 rhgr 그룹의 사용자만 읽기와 쓰기가 가능합니다.
- 그 외 다른 사용자는 어떠한 설정도 불가능합니다.
- 단 root는 모든 작업이 가능합니다.
- 생성된 파일은 자동적으로 소유 그룹이 rhgr이 되어야 합니다.
먼저 디렉터리를 만들어준 후
소유그룹을 rhgr 으로 변경해준다
변경해줘야할 것은
rhgr group의 퍼미션 rwx 만들기
other 퍼미션 ---만들고
생성 파일이 자동적으로 rhgr이 되도록 만들기
special permission을 사용하는 이유는 생성 파일이 자동적으로 rhgr이 되어야하기 때문에
파일을 만들 때 rhgr 그룹의 퍼미션을 우선적으로 적용한다고 생각하면 됨!
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를 rhtest01로 바꿔주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test라는 파일을 만들어줌
첫번 째 / 위치에서는 rhtest01:rhtest01이지만
두번 째 소유권을 설정했던 /home/manager 밑의 test 파일은
group 부분이 설정해둔 rhgr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RHCSA 준비하기 : 레포지터리 설정 (0) | 2024.10.04 |
---|---|
RHCSA 준비하기 : NTP (1) | 2024.10.04 |
RHCSA 준비하기 : 자동 스케줄링(cron) (1) | 2024.10.02 |
RHCSA 준비하기 : 파일 권한 설정 (0) | 2024.10.02 |
RHCSA 준비하기 : selinux httpd (0) | 2024.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