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 동적 | |||
단위 | 파티션(정적, 물리적 분리) | 볼륨(보다 유연) | ||
범위 | 물리디스크 1개 | 물리 디스크 1개 이상 |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or inexpensive) Disks)란?
독립 디스크의 중복 배열 방법을 말한다.
이는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보호와 시스템 성능 공간 및 저장공간 균형을 목적으로 한다.
쉽게 말하자면 여러개의 디스크를 가지고 논리적인 저장방식에 따라 묶는 저장기술이다.
H/W Raid는 여러개의 디스크를 연결해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한다. 제조업체마다 조작과 방식이 조금씩 다르다.
S/W Raid는 고가의 H/W Raid의 대안으로 나온 논리적 디스크 저장관리 방식이다.
레이드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위의 다섯 가지로 나누어 다루어보고자 한다.
디스크 1개를 단순볼륨, 이라고 했을 때
디스크 1개 이상의 볼륨을 가지고 있을 때
첫번째 디스크가 채워져야 다음 디스크를 사용하는 방식이 리니어 레이드 이다.
최소 두 개의 디스크가 필요한 방식으로,
두 디스크를 번갈아 사용(세로 스트라이프 방식)한다.
장점 | 디스크 읽기, 쓰기 속도를 높인다 입출력(disk/I/O) 속도를 높인다 |
단점 | 가용성X (한 디스크에 문제가 생기면 복구 불가능) |
최소 두 개의 디스크가 필요
하나의 디스크를 복제본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속도와 관계가 없다.
최소 세 개의 디스크가 필요
패리티를 분산시켜 저장한다(<-raid 4보완)
odd(홀수) bit |
even(짝수) bit |
parity bit(정보 전달 시 오류가 생겼는지 검사하는 bit) -> 8bit 단위 전송(7bit + 1bit(parity)) |
# Raid 4 : 디스크 하나에 parity bit를 따로 보관
# Raid 6 : double parity
5) Raid 1+0 / Raid 0+1
RAID 0 + 1 | RAID 1 + 0 | 내결함성 | |||
순서 | stripe -> mirror | mirror -> stripe | |||
선호도 | v | ^ |
Disk Failover란?
디스크 하나가 정상 동작하지 않을 때를 이야기한다.
모든 레이드에서 나올 수 있는 상황이지만, Raid 5와 Raid 1은 켜져 있는 상태에서 제거 후 복원 가능
스트라이프 같은 경우는 제거 어려움
리니어같은 경우는 다음 디스크로 넘어가지 않았을 때 교체 가능함
RTO : 복구 목표 시간 | FT : 내결함성 < - fail over에 대비 | |||
RAID 0 | X (복구 기능x) | X (복구 기능x) | ||
RAID 1 | O | O | ||
RAID 5 | RTO O | O |
HA(고가용성)을 고려한다면 Raid 4,6을 포함한 Raid 5가 가장 선호도가 높은 안전한 레이드 구성방식으로 볼 수 있음
tar : 아카이브 생성 (0) | 2024.11.20 |
---|---|
Disk : LVM (0) | 2024.09.30 |
DISK vmdk (1) | 2024.09.24 |
iptables NAT (0) | 2024.09.24 |
cisco NAT (0) | 2024.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