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카테고리와 다르게 정말 혼자 실습 연습해보면서 기록하기 때문에
굉장히 편한 어투와 말투 !
지식을 공유한다는 느낌보다는 일기장 같은 느낌일 것!
지식을 원하신다면,, 다른 포스팅으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격증 따자마자... 새로운 자격증 공부하기..........
그 이름.. OpenShift..
나름 배워보고 싶다고는 생각했으나 이렇게 바로 찍먹해볼 줄 몰랐다
회사 입장에서도 놀게 둘 순 없으니 뭐 시작하기 전에 그냥 미리 찍먹해보아라 인 것같다...
내가 자꾸 조급해하는 것처럼 보이나보다.. 그저 Docker와 k8s가 궁금했을 뿐인데 .. 쩝..
그래서 일단은 ! OpenShift가 무엇인지 부터 알아보려고 한다
라고 한다..
Red Hat OpenShift는 개발부터 배포, 애플리케이션 워크로드 관리에 이르기까지 전체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을 간소화하는 툴과 서비스를 통합하는 선도적인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입니다.
이 OpenShift가 ansible을 기반으로 동작한다던데
그렇다면 확실히 전체적으로 간소화되고 효율적이긴 하겠다 ..
자체 관리형 또는 전체 관리형 클라우드 서비스 버전으로 제공되는 OpenShift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AI, 가상 및 기존 워크로드 모두를 위한 완전한 통합 툴 및 서비스 세트를 제공합니다.
지금까지와는 다르게 퍼블릭 네트워크 쪽에서 유용하게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이쪽이 꽤나 궁금했기에 합법적(?)으로 파볼 수 있는 기회!
RHEL에서 친절하게 구축 방법도 올려두었으니 이것 자체는 수월하게 할 수 있지 않을까? ㅎ
예상한다.
오늘이 약간의 Preview같은 느낌이었다고 생각하고
다음 포스팅 부터 달려볼 예정!
환경 구성하려는데 너무 헷갈려서... 찾아보
마스터 노드를 3개 이상 두는 이유는 고가용성(HA, High Availability) 및 데이터 일관성 때문입니다.
1. ETCD의 합의(Quorum) 방식 때문
2. 장애 조치(Failover) 보장
3. OpenShift 권장 사항
결론
👉 마스터 노드를 3개 이상(홀수) 두어야 클러스터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한 대가 장애가 나도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라고 하네요...
Openshift 준비하기 : L/B 세팅하기 (0) | 2025.04.24 |
---|---|
OpenShift 준비하기 : RHCOS 이미지 캐시 만들기 (0) | 2025.04.02 |
OpenShift 준비하기 : OpenShift Container Platform 설치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