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Red Hat default routing(with Network)

RedHat

by 주스로그 2024. 11. 11. 18:00

본문

728x90
반응형

※주의!

다른 카테고리와 다르게 정말 혼자 실습 연습해보면서 기록하기 때문에

굉장히 편한 어투와 말투 !

지식을 공유한다는 느낌보다는 일기장 같은 느낌일 것!

지식을 원하신다면,, 다른 포스팅으로..


2024.11.11 - [RedHat] - Red Hat ens disconnect

 

Red Hat ens disconnect

※주의!다른 카테고리와 다르게 정말 혼자 실습 연습해보면서 기록하기 때문에굉장히 편한 어투와 말투 !지식을 공유한다는 느낌보다는 일기장 같은 느낌일 것!지식을 원하신다면,, 다른 포스

zuchnology.tistory.com

 

윗 글의 이후상황,.

정말 기본적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너무나 놓치기 쉬웠던 실수를 저지르고 말았다.

필자의 상황은 

이렇게 되어있었다.

이때 servera를 통해 개인적인실습을 하려고 하는데 서브스크립션이 필요해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했고,

 

잠시동안 Vm network에 연결해 repolist만 받아오려고했다..

근데 맨 윗 글 connected를 만든 후에도 계속 통신이 안되는 기이 현상이..

 servera에서 network adapter를 하나 더 추가하여 그 연결을 Vm network로 맞추어줬는데도 안되던 것

 

++++++++++++

어떤 식으로 통신 요청이 되어있었나 보자면, 빨간 박스의 지정이 정말 중요하다.

저 빨간 박스는 Default route 지정 설정이다.

routing table에 적히지 않은 주소 , 다른 네트워크 대역 또는 next hop이 아니라면

해당 지정 방향으로 무조건 ping을 보내도록 설정하는데,

pxe server같은 경우는 default route가 Vm network에 연결된 172대역이므로

외부와 통신이 가능했던 것.

때문에 Default 설정이 192였던 servera는 ping 통신을 custom network 단으로 보냈고,

해당 대역 안에는 1.1.1.1을 알 수 없기 때문에 host unreachable을 보냈던 것이다..

때문에 해당 servera의 Default route 설정을 172대역으로 바꾸어주면

ens192(=custom network  adapter)에 해당 네트워크를 default route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 체크

(헷갈릴 수 있으나 해당 표시는 X사용하지 않는다. 가 아니라 V 체크한다.라는 의미)

그렇다면 ens224는 디폴트로 설정해야하기 때문에 해당 체크가 비활성화되어있어야

자동으로 ens224가 디폴트 라우팅 타겟이 되는 것.

그럼 이렇게 연결이 되면서

위와 같이 디폴트 라우트 설정이 172대역임을 확인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RedHa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Hat Podman : loginctl  (0) 2024.11.21
Red Hat ens disconnect  (3) 2024.11.11
PXE 서버 구성 : DNS 설정하기 + Repo 설정하기  (3) 2024.10.28
리눅스 패키지 : ethtool  (2) 2024.09.30
Red Hat firewalld 다루기(aka.httpd)  (3) 2024.09.27

관련글 더보기